세상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적극 공유하는
플랫폼 기업
차별 없는 쉬운 접근과 선량한 참여를 보장하는 플랫폼
신뢰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건강 100세 사회를 위한 건강정보 플랫폼
케이더봄 디지털 헬스 솔루션 라인업을 소개합니다.
개인 정신건강 서비스
케이더봄만의
플랫폼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맞춤형 서비스
고객사에 니즈에 맞게
디자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
프로젝트, 협업
프로젝트, 협업 등의 소통수단으로
손쉬운 공유방식과, 빠른 검색
확장성
모바일 플랫폼 기반 확장과
기업 내부의 사용자 범위 확대
강력한 보안
모든 데이터 암호화 처리와
사용자별 권한 기능 제공
케이더봄의
새로운 소식을 바로 만나보세요.
관리자
푸른나무재단, ‘대한민국 비폭력 캠페인’ 개최
출처
관리자
외국인환자유치등록 완료
“외국인환자 유치”란 외국인환자의 국내 의료기관 이용 증진을 위하여 진료예약·계약체결 및 그 대리, 외국인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제공 및 교통 · 숙박 안내 등 진료에 관련된 편의를 제공하는 활동으로국제적인 경쟁력을 지닌 우리나라 우수한 의료기술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고, 이를 차세대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기 위해 정부가 선정한 17대 신성장 동력산업의 하나 입니다.
관리자
재외국민, 우리나라 비대면 진료받을 길 열린다
[IT동아 김동진 기자] 외교부에 따르면 180여 개국, 총 732만 명의 재외국민이 해외에 체류 또는 거주 중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진료받을 때 최대 한 달 이상 대기한다. 진료받더라도, 해당국의 의료보험 미가입자일 경우 상당액의 진료비를 내야하고, 의사소통이 서툴러 병세를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정부는 규제 특례를 허용, 재외국민이 비대면으로 국내 의료진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중략..재외국민 비대면 진료과정 살펴보니최근 정부의 규제 특례를 받은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케이더봄\'의 플랫폼을 이용해 재외국민이 어떻게 비대면으로 국내 의료진을 만날수 있는지 과정을 살펴봤다..중략..이어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국은 대국민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를 적극 지원, 육성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732만 명에 달하는 재외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5000만 국민의 의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글 / IT동아 김동진 (kdj@itdonga.com)
케이더봄과 함께 시작해 보세요